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건축계획3

[건축기사|건축계획] 한식 주택과 양식 주택 분류 한식 주택 양식 주택 평면 실의 조합(은페적) 위치별 실의 분화(사랑방, 안방, 행랑방 등) 실의 다용도 실의 분화(개방적 기능별 분화(거실, 식당, 침실 등) 실의 단일 용도 구조 목조 가구식 바닥이 높고 개구부가 큼 벽돌 조적식 바닥이 낮고 개구부가 작음 관습 좌식생활: 온돌, 탈화 입식 생활(의자식): 침대, 착화 용도 방의 혼용 용도: 사용 목적에 따라 달라짐 방의 단일용도: 침실, 공부방 가구 가구는 부차적 존재(가구에 관계없이 각 소요실의 크기, 설비가 결정) 가구는 중요한 내용문(가구의 종류, 형에 따라 실의 크기, 폭 결정) 2024. 1. 28.
[건축기사|건축계획] 02.주택 02. 주택 주택일반 및 단독 주택 ◎ 주택의 의의 주택은 사람이 정착하여 살고 있는 곳으로, 가족들이 가정을 이루어 사는 장소로서 휴식하고 충전하고 행복을 추구할 수 있는 인간 생활의 근거가 되는 장소라고 할 수 있다. ◎ 현대건축의 설계 방향 1. 가사 노동 활동이 최소가 되도록 한다. ㄱ. 평면 기능상 주부의 동선 최소로 단축 ㄴ. 주거 설비 현대화, 기계화 2. 좌식과 입식의 적절한 혼용방식이 되도록 한다. 3. 개성적인 프라이버시를 확립하고, 쾌적성과 위생적, 환경적 요소가 상호 작용 하도록 한다. ◎ 주택의 분류 1. 기능, 목적에 의한 분류 ㄱ. 전용 주택 주생활만을 위한 주택(순수한 주거) ㄴ. 병용 주택 주생활의 목적과 기타 직업 생활의 목적을 겸한 주택 2. 집합 형식에 의한 분류 ㄱ... 2024. 1. 28.
[건축기사|건축계획] 01.총론 01. 총론 (1) 건축의 정의 원초적 건축은 햇빛, 비, 바람 등의 자연적 요소와 맹수, 다른 종족 등의 환경적 요소로부터 인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처(shelter)였으며, 이러한 목적이 어느 정도 이루어지자 그 장소에 문화가 발전하게 되고 도시와 국가가 형성되면서 현재까지 이르고 있다. (2) 건축의 3요소 기능, 구조, 미 (3) 건축 과정 기획 -> 계획 -> 설계 -> 시공 -> 평가 (4) 건축계획 조사 방법 ▶ 문헌조사법 기존 문헌을 조사하는 방법 단점: 자료 자체의 오류와 한계가 있다. ▶ 면담법 회답의 신뢰도 확인 가능하며, 보충 설명 또한 가능 ▶ 관찰법 인간의 형태에 대한 연구에 주로 사용되는 방법 ▶ 설문지법 이해하기 쉬운 문장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응답자 역시 문장의 이해 능력을.. 2024. 1. 27.
어딨냥? 빨리 오라개! 우리집 댕냥이 팔불출력 자랑하기 이벤트
728x90
반응형
SMALL